본문 바로가기

React

접근 제한 라우팅(Access Control & Authentication)

프론트에서 유저가 로그인 됐는지 확인하려면? 그리고 그에 따른 라우팅은?

  • 라우팅 전 프론트에서는 사용자의 쿠키나 Storage를 조회하여 토큰이 있는지 검사한다.
  • 그리고 그에 따라 유저에게 다른 페이지를 보여준다.
  • 이걸 제한 접근 라우팅이라 한다.

로그인여부에 따른 라우팅

  • 서비스 마다 다르지만 로그인여부에 따라 리디렉션을 해주는게 바람직하다.
  • 예를들어 마이페이지에 들어갔는데 로그인이 안되있다면 로그인페이지로 리디렉션

구현

  • App.jsx의 Router 컴포넌트 안에 PrivateRoute 컴포넌트와 PublicRoute 컴포넌트를 추가한다.
  • 각각의 루트 컴포넌트 안에 로그인을 검증하는 isLogin()함수를 삽입하여 Rendering할 것인지, 혹은 Redirection할 것인지 판별한다.
  • PrivateRoute 컴포넌트는 로그인 페이지로, PublicRoute 컴포넌트는 메인 페이지로 Redirection한다.

세션과 쿠키

  • 둘 다 로그인과 같은 사용자 인증을 할 때 주로 사용
  • 세션은 서버쪽에 정보를 저장하고 쿠키는 클라이언트 쪽에 정보를 저장한다.

출처: https://cotak.tistory.com/108

 

[React.js] 라우터를 이용한 접근 제한 구현 (Access Control & Authentication)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나 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경로가 다르다. 물론 서버쪽에서 체크를 해주긴 하지만, 해당 URL로 넘어간다는 것 자체를 프론트측에서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그

cotak.tistory.com

 

출처 : https://steadily-worked.tistory.com/831

 

[React] 로그인 여부에 따른 제한 접근 라우팅 구현하기(localStorage 사용)

어제 급하게 달렸던 소프트웨어공학 프로젝트가 마무리되었다. 계속 까먹고 있었는데 제한 접근 라우팅은 로그인 기능이 있는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필수로 요구되는 기능이다. 나는 localStorage

steadily-worked.tistory.com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weekamp&logNo=220931266233

 

세션(Session)이란? 쿠키(Cookie)란?

세션(session) : 사전적 의미 : 시간을 의미합니다. :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간에 통신 연결에서 두 개체의 ...

blog.naver.com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로 설정  (0) 2022.03.05
React-Roter v6  (0) 2022.03.01
Oauth  (0) 2022.02.28
[react, css] 헤더만들기  (0) 2022.02.18
[CSS] Flexbox  (0) 2022.02.15